⚪️&⚫️.
바보. 멍청이.
자아, 부연을 해보자.
항상 생각하곤 해. 저렇게 운명적이고도 끈끈하지만 순수하게 오래되어 그 사람 없는 삶은 상상할 수도 없는, 그러한 대상이 있다는 건 어떤 느낌일까? 내 옆의 안경쟁이는 지금 이렇게 말하고 있다. "그딴 건 존재하지 않아. 그건 망상,이야."
힝, 하지만 그건 좀. 일단 이 책에서의 ⚪️와 ⚫️는 초등학교 때 처음 만났다. 순정만화의 클리셰에는 소꿉친구가 꼭이니까. 그 이후로 쭉, 그냥 그대로 쭉. 그들은 몇 번의 멀어져다 가까워짐을 반복하며 같은 삶을 살아간다. 두 명의 독립적인 삶이 반복적으로 접하는 느낌이라기보단, 하나의 삶이 두 개의 실선으로 구성되어, 이리 기웃 저리 기웃, 그렇게 하나의 궤적을 만들어가는 느낌. 결국 두 개가 아니라 한 개라는 거잖아. 이런 생각을 해본 적 있다. 이렇게 서로에게 너무 강하게 얽힌 삶은 축복일까, 저주일까? 책에서 ⚫️가 말했다. 나는 그른 것 같으니 ⚪️ 너라도 제대로 된 삶을 살아가라고. 헤어지자고. 하지만 ⚪️은 ⚫️ 곁에 끝까지 남는다. 그렇게 둘은 함께 산 속의 청솔모가 되었다가, ⚫️는 시체가 되었고, 이내 ⚪️ 뱃속의 몇 달 치 영양분이 된다. 이런 바보같은 관계가 어딨어.
"너를 따라 죽는 게 아니라 나를 따라 죽게 만들 거야."
너를 지니고 살아가겠다는 ⚪️의 말. 참 참신한 발상이었다. 하지만 여기서 그 영양분은 그 다음날이 되면 화장실의 이슬로 사라졌을 거라는 말을 하면 사이코겠지?
처음 이 책을 작가의 말 끝까지 읽고 나서의 감정은 조금 복잡했다. 아니 그래도 너무 서사가 충격과 절망 뒤 절망 뒤 충격, 그리고 끝인데⋯ 그 둘의 미친 사랑 이야기는 잘 들었지만, 이해는 하지 못했어요. 나는 살면서 누군가에게 그렇게 강한 집착과 애착을 동시에 가져본 적이 없으니까. 그리고 그 대상을 눈앞에서 잃어본 적도 없으니까. 응, 솔직히 말하면 미경험자의 공감대 형성 실패! 라고 간단히 땅땅땅- 진단을 내릴 수도.
하지만 며칠 잊고 살다가 왠지 기록으로 남기고파 다시 책을 스르륵 훑어 보며 느낀 점은, 시체를 먹는다는 고어한 소재에 가려졌지만 참 설레는 말들이 많았다는 거다. 타인에게 그렇게 솔직하면서도 순수한 사랑에 대한 고백을 삶 통째로 받는다는 건 참 행복한 일일 거야. 그럼에도 그들의 삶이 불행했던 건 그들을 둘러싼 환경의 탓이긴 하지만. '환경' 이야기를 꺼내니, 어쩌면 이 결말이 ⚪️과 ⚫️가 서로를 너무 사랑한 탓도 있겠지만 멍청했기 때문은 아닐까, 하는 생각도 들었다. 마치 실험장의 쥐처럼, 우물 안 개구리처럼, 너무 어린 시절부터 서로가 서로의 전부가 된 나머지 그 이상은 생각하지 못한 거야. 그래서 무너지는 하늘 천장 속 솟아날 구멍을 찾지 못한 채 그냥 둘 다 그 아래 깔려버리고 만 거야.
나 나름 이 책을 이해하려고 가설을 세워 본 거다. 나였다면 어땠을까. 아마 ⚫️를 버렸을 거야. 일시적으로. 대신 대학에 가고, 정육점 말고 더 좋은 곳에 취업을 해서, 좀 더 생산적으로 돈을 벌 궁리를 한 끝에, 내 돈으로 ⚫️를 그의 지옥으로부터 해방시켜 줄 거야. 하지만 이렇게 말하는 시점에서 이미 나는 그들의 삶을, 그들을 제대로 이해하는 데 실패한 걸 거다. 낭만 실격! 이해력 부족! 아마 의지할 다른 누군가는 일절 없는 채로, 정말 서로만 서로를 기억해줄 수 있다는 말의 무게를 제대로 체감하지 못한 걸 거야.
그렇다면, 그 둘은 서로에게 서로가 있어 참 다행이었겠다. 아마 ⚪️은 오래오래 살 거야. ⚫️가 살았음을 증명해줄 수 있는 사람은 자신밖에 없을 테니까. 그리고 ⚫️는 오래오래 ⚪️을 기다려 줄 거야. 결말에 ⚫️가 한 말처럼, 그는 이미 죽었으니 천만년 만만년이고 기다렸다가 ⚪️이 오는 날 손에 손 잡고 사이좋게 같이 환생해야지. 그렇게라도 행복해라. 같이 손잡고 다음 생에 진입해도 부디 그때는 삶이 그들에게 좀 더 친절했으면 좋겠다. 구와 담, 이름이 둘 다 참 담백하고 입에 착 붙는 이름이라 좋았다. 그 둘의 마음이 짧은 생애 내내 항상 변함없이 서로를 소중히 여겨 좋았다.
그렇게 잔잔하고 영원한 사랑이 존재한다고 나에게 알려주는 것 같아 웃었다.
- 저자
- 최진영
- 출판
- 은행나무
- 출판일
- 2023.04.26
'library' 카테고리의 다른 글
『지구 끝의 온실』 (0) | 2024.05.22 |
---|---|
『레버리지』 (0) | 2024.05.07 |
『몰입의 즐거움』 (0) | 2024.04.23 |
『웃는 듯 우는 듯, 알렉스, 알렉스』 (0) | 2024.03.09 |
『말랑말랑 생각법』 (2) | 2024.01.03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