"가족을 속이고 상처 입히는 게 사랑이라면 도담은 사랑을 인정할 수 없었다. 온 힘을 다해서 찌그러트리고 싶었다." 도담은 그랬단다. 놀랍지 않게 도담에게서 나를 발견할 수 있다면 과도한 동화일까.
사랑은 하지 않고 있습니다. 동생과, 부모님과, 친구들과- 행복하고 단란하게 하루하루를 일궈 나가고 있습니다. 세간 사람들의 눈엔 내가 어떻게 보일까. 물론 그런 건 중요하지 않지만, 그래도, 조금 궁금하긴 하니까. 아마 '아아, 사랑의 아름다움을 모르는 당신은 불쌍해요!' 하고 세일러문처럼 동정하려나. 하지만, 나는 더이상의 급류는 내 인생에 원치 않는다. 스무 살, 모든 사람들이 아름답고 애틋하게 보내는 한 번뿐인 꽃다운 해, 나는 충동 그 자체였다. 내가 가장 사랑하는, 가장 아끼는 이들을 무자비하게 상처입혔다. 나의 자유의지 앞에 그딴 방해물은 중요치 않다는 듯이. 생각해 보면, 나는 자유로운 사랑을 원한다 호소했지만 실제로 추구한 건 내가 마음대로 휘두를 수 있는 얄팍한 결정권에 불과했다. 책임의 부재, 방종, 자기소모, 만용. 나는 두번 다시는 부모님의 그런 두 눈을 마주할 수 없다. 그렇게 집나간 미친년의 제정신을 머리채 잡고 집에 돌려보냈다.
사랑이라는 이름 아래 가해지는, 합리화되는, 수많은 형태의 폭력을 생각한다. 차분하고, 이성적이고, 절제 있게 행동하고 싶지만, 단지 그 모든 것에서 벗어날 수 있는 마스터 키의 이름을 '사랑'이라고 지은 것 마냥, 원초적인 하루살이, 불나방의 형태로 달려드는 나 자신의 꼴이 우습다. 그래서 사랑이 싫다. 어쩌면 마음 가장 깊은 곳에선 나 스스로도 용서할 수 없는 기억이 또아리를 틀고 있는지도 모르겠다. 평생 벗어날 수 없으면 어떡하지. 평생 나의 한 구석이 미우면 어떡하지. 확실히 나의 어떤 조각은 급류에 휩쓸린 것 마냥, 흘러가 돌아오지 않는 곳으로 떠나버렸을 지도 모르겠다. 나는 그렇게, 차단된 어떤 한 제약으로써 기능하는 ‘급류’를 생각한다.
물에 빠지다. 진흙에 빠지다. 뻘에 빠지다. 맨홀에 빠지다. 절망에 빠지다. 역시, 사랑은 빠지는 게 맞다. 불가항력적이고, 쉽게 헤어나올 수 없는. 그래서 나는 도담의 마지막 장에서의 대사가 너무 존경스러웠다.
난 빠진 게 아니라 사랑하기로 내가 선택한 거야.
나는 언젠가 저런 말을 당당하게 내뱉을 수 있을까. 충동이 아니고, 본능에 새겨진 욕구가 아니고, 설계된 운명의 꼭두각시 놀음도 아니고, 나의 자유의지로, 당신을 열렬히 사랑하기로 마음 먹었습니다- 라고. 의심되지 않는 확실함을 원한다. 후회없을 선택을 갈망한다. 한껏 쪼그라들어, 되찾은 생활에 만족하면서도, 나를 미워하면서도, 나의 마음을 불신하면서도, 사랑 이야기가 담긴 책들을 좋아라 찾아 읽는다. 그렇게 오늘도 감정선들을 널뛰며 사람답게 살아간다.
- 저자
- 정대건
- 출판
- 민음사
- 출판일
- 2022.12.22
'library' 카테고리의 다른 글
『아무튼, 여름』 (1) | 2024.09.06 |
---|---|
『아가미』 (2) | 2024.09.05 |
『요즘 사는 맛』 (0) | 2024.08.29 |
『도시와 그 불확실한 벽』 (0) | 2024.08.18 |
『어떤 물질의 사랑』 (0) | 2024.07.27 |